GPS 전력소모
높음,보통,낮음의 3단계를 고를수 있으며, GPS 성능이 떨어지는 기기일 경우 보통이나 낮음 설정시 GPS가 튑니다.
요즘은 폰들이 대용량 배터리라서, 사실상 전력 소모 설정이 큰 의미가 없으니, "높음"으로 설정하시는것을 권장합니다.
GPS 저장
이동간 GPS 좌표를 GPX 파일로 저장할것인지 설정합니다.
GPX 파일은 스트라바나 엔도몬도등 웹사이트에 업로드하여 자신의 주행 기록을 관리하거나, 다른 기기에 등록하여 route를 볼수 있는등 효용성이 크니, 특별한 사유가 없는한 저장하실것을 권장합니다.
획득고도 보정1
GPS로 획득고도를 계산할때 오차를 줄이기위한 값이며, 기압센서를 가진 기기에서는 불필요한 설정입니다. 이 값은 보정해도 GPS는 기압센서 방식에 비해 획득 고도 계산이 오차가 매우 큰편이니 그냥 기본값으로 놔두시길 권장합니다.
획득고도 보정2
위 보정1 값과 마찬가지로, GPS로 획득고도를 계산할때 오차를 줄이기위한 값이며, 기압센서를 가진 기기에서는 불필요한 설정입니다. 이 값은 보정해도 GPS는 기압센서 방식에 비해 획득 고도 계산이 오차가 매우 큰편이니 그냥 기본값으로 놔두시길 권장합니다.
Accuracy (정확도)
Accuracy 값은 지도 상단에 표시되며, 값은 오차범위를 뜻하므로 값이 작을수록 수신감도가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폰 GPS(상업용)는 개활지에서 최소 오차가 1.5m~3m 입니다. 하지만, 다리 밑 또는 터널을 통과하거나 주변에 고층빌딩 숲을 이룬 도심일 경우, 주변 장애물이나 건물벽에 반사된 GPS 신호를 받으며, 오차가 20~100m 까지 커지게됩니다.
이를 그대로 GPX 파일로 저장하면, 실제보다 이동거리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어서, 평균속도등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에 Accuracy 설정을 하여, 설정값이상 오차 발생시 GPS 좌표를 GPX 파일에 저장하지않고 무시하도록 하기위한 설정입니다.
GPS 성능에 문제가 없는 보통의 기기들은 이 값을 "20" 으로 설정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참고: 10 이하의 값은 무시됩니다. (개발자는 10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 값의 단위는 미터입니다.)
참고2: GPS 신호 수신에 문제가 있는 폰의 경우, 설정값을 너무 낮게 설정하시면 GPX 파일에 GPS 좌표가 저장되지않게 됩니다. 제가 가진 보급형 폰중에 하나는 Accuracy가 개활지에서도 15~25m 까지 출렁거려서, 설정값을 낮출 경우 GPX 파일이 저장이 안되는 구간이 생기는 기기도 있습니다.
참고3 : 설정값에 따라 GPX 저장이 안될수 있으니, 가지고 계신 기기의 GPS 수신성능에 따라 적절한 값을 입력하십시요.
참고4: 대부분의 스마트폰들은 오랜 기간 사용시 GPS 안테나의 접점이 벌어지는 접촉 불량으로 인해, GPS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보급형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설계 문제로 GPS 수신율에 문제가 있는 기기도 상당수 존재합니다.
minTime
GPS 신호를 설정된 시간마다 갱신합니다. (단위는 millisecond 입니다. 1,000 = 1초)
minDistance
GPS 신호를 설정값 만큼 이동할때 마다 갱신합니다. (단위는 meter)
참고 : minTime과 minDistance는 값을 크게 둘수록 전력 소모가 줄어들지만, 대신 GPX 저장시 GPS 좌표 저장간격이 벌어지게됩니다.
참고2: minTime과 minDistance가 둘다 "0" 값으로 설정시 GPX 파일에 GPS 좌표는 1초 단위로 저장됩니다.
- 케이던스나 심박센서 없이 걷기나 트래킹등을 하면서 단순 이동루트만 로그에 남기고 싶다면, minTime은 10,000 minDistance는 10 으로 설정하여 전력소모량을 줄여주세요.
-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정확한 주행정보를 얻고 싶을때는 minTime은 1,000 , minDistance 는 1 값으로 설정하십시요.
- GPS 설정 변경후 소돼지 자전거의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지도 설치에 관한 메뉴얼 - http://sodaeji.tistory.com/46
내위치 갱신 간격
기본값 1초 설정을 권장합니다.
Map tile cache 사용
체크시 한번 로딩한 지역의 지도를 캐시파일로 폰의 내장 공간에 저장하여 재접속시 지도의 로딩속도를 개선합니다.
고성능 폰들은 사실상 불필요한 기능이고, 구형 폰중에 느린 속도의 외장 SD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체크하시면 지도를 빠르게 로딩할수 있습니다.
참고: class6이하의 느린 외장 SD 카드에 sodaeji.map 파일이 있는 경우, 지도 로딩시 어플이 오류로 종료될수도 있으니 이 기능을 체크해두실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라이딩 목적지까지 미리 지도를 읽어와 캐시파일을 저장해두는것이 오류로 인한 갑작스런 어플 종료를 막는 한 방법입니다. (또는 class 10 짜리 초고속 SD 카드 사용)
이동 경로 표시
지도위에 나의 이동경로를 표시합니다.
고도
고도계 선택
해발고도를 GPS 또는 기압센서를 선택하여 표기할수 있습니다.
기준 고도
해발고도를 기압센서를 이용하여 표기할때, 어플을 실행 한곳의 정확한 해발고도를 기준고도에 입력합니다.
이동중에 기준고도를 설정할시에는 설정한 값으로 초기화되기때문에, 출발지가 아닌 현재 위치의 정확한 고도를 입력하셔야합니다. (예를 들자면 해발고도 50미터 지역에서 출발했더라도 해발 100미터 지점에서 앱의 설정에 들어가 기준고도값을 변경한다면 설정페이지를 열은 곳의 해발고도인 100 으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만약 해발 100미터 지점에서 49나 51로 설정시 출발지로 돌아가면 출발지의 고도는 약 -2~2 미터로 표기됩니다.)
* 설정의 기준고도 값이 기존 값과 비교하여 변경이 없을 경우에는 초기화되지않습니다.
경사도 보정
설정된 거리(미터)마다 경사도를 비교 측정합니다.
최소 값은 1미터이며, 10~29미터 사이의 값을 추천합니다.
보정 값이 작을수록 경사도 측정값의 오차가 커질수 있습니다.
경사도 보정은 GPS와 기압센서,스피드센서에 영향을 받으며, GPS 또는 기압센서의 정확도가 떨어질수록 경사도의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경사도가 비교적 정확하게 표시되는 조합은... 스피드 센서와 고품질의 기압센서를 장착한 기기를 사용할시, 보다 정확하게 경사도를 측정할수 있습니다.
* 스피드 센서 사용시 추천값 - 20
* 기압센서가 없는 기기의 경우, 경사도가 표시되지않습니다.
기압센서 보정
기본 값은 50 입니다.
10 미만의 설정값은 10으로 강제조정됩니다.
수치가 작을수록 기압센서의 기압 오차가 커질수 있습니다.
수치가 커질수록 표기되는 기압 수치가 느리게 반영됩니다. (30회 기준 3~5초 가량 딜레이가 발생합니다.)
* 보행 : 경사도보정 - 20 , 기압센서보정 - 40~50
* 자전거 : 경사도보정 - 20 , 기압센서보정 - 40~50
* 차량 : 경사도보정 - 30 , 기압센서보정 - 40~50
* 기압센서(Barometer Sensor)가 없는 기기의 경우, 고도계를 GPS가 아닌 기압센서로 선택하면 기압수치가 0으로 보여지며 해발고도 또한 표기되지않습니다.
* 기압센서 선택시, 어플을 실행한 곳의 정확한 해발고도를 기준 고도 설정에 등록하셔야 합니다.
* 기준 고도 설정은 기압센서 선택시에만 사용됩니다.
* 낮과 밤의 기온차에 의해 기압이 큰폭으로 변하고, 주간에 로그를 기록하기 시작한 경우, 야간에는 기압변화에 의한 고도 오차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 장시간 로그를 기록시, 로그 기록중에 설정의 기준 고도값을 변경하여 오차를 줄일수 있습니다. 단, 기준 고도값을 변경하는 장소의 정확한 해발고도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 기압센서에 의해 해발고도를 표기할경우, 기압센서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약 2~5초의 딜레이가 걸립니다. 이로인해, 오르막과 내리막이 연속되는 짧은 낙타등 코스를 빠르게 이동할시에는 내리막에서 고도가 올라가거나, 오르막에서 고도가 내려갈수 있습니다.
* GPS에 의해 고도값을 측정할때와 달리 기압센서에 의해 해발고도를 표기할때는 소수점으로 cm 단위의 변화까지 표기됩니다.
* 기기를 옷 주머니등 밀폐된 공간에 넣었다 빼거나, 강풍이 불때에는 기기에 따라 기압이 급격하게 비정상적으로 변할수 있습니다.
'메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정> 그래프 (0) | 2016.12.05 |
---|---|
설정> 메세지 (0) | 2016.12.05 |
설정> 소돼지 자전거 설정 (0) | 2016.12.05 |
스크린2 (그래프) 설명 (0) | 2016.12.04 |
스마트폰 공장초기화시 백업 받아야할 파일 (1) | 2016.10.01 |
댓글